목록전체 글 (127)
마이의 개발 블로그
배경 본격적으로 구직을 하며 서류탈락을 종종 경험하던 와중에 코딩테스트 기회를 부여받아 응시하게 되었다. 여기도 사실 내가 서류 탈락을 이미 당한 기업이었는데, 인사팀과 연락하는 과정에서 감사하게도 테스트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생각해보니 인생 첫 코딩테스트다. 이 테스트는 한 번도 사용해본적 없는 구름LEVEL에서 진행되었고, IDE에 적응할 겸 며칠간 구름LEVEL에서 문제를 40개정도 풀어보고 시험에 응시했다. 네 시간, 네 문제가 주어졌고 당연히 시간보다 빨리 풀고 야식 먹을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시간을 꽉 채우고도 원하는 만큼의 결과를 얻지 못했다. 테스트 내용 부여받은 네 개의 문제는 아래와 같다. 아직 공고 중인 기업이라 지금 시점에 자세하게 작성하기는 어렵고 대략적인 아웃라인만 적어본..
배경 JWT 보안 처리를 위한 필터체인 securityFilterChain를 구성 중 일부 코드가 동작하지 않아 동작하도록 고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맞닥뜨리게 된 문제들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꼬박 하루 이상의 시간을 사용했는데, 국내외를 막론하고 생각보다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해주는 포스트가 없기도 했고, 내가 평소에 개발을 하며 어떤 식으로 문제를 살펴보고 해결하는지를 기록으로 남겨두는 것도 좋을 것 같아 글을 쓰게되었다. 문제 1 - requestMatchers 메서드의 String 타입 사용 불가로 인한 컴파일 오류 메시지: cannot resolve method 'requestMatchers(String)' 기존에 사용된 antMatchers 메서드가 deprecated되어 reques..
배경 Udemy에서 스프링 부트를 학습하며 리액트와 스프링부트를 활용한 토이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리액트는 3000번 포트를, 스프링부트는 8080포트를 사용 중이기에 리액트에서 부트로 통신 시도 시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에러가 발생한다. 보통은 아래와 같은 코드를 메인함수가 있는 Application에 삽입하거나, WebMvcConfigurer를 extend한 별도의 클래스를 생성하고 bean으로 등록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나의 경우에는 이런 시도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Bean public WebMvcConfigurer corsConfigurer() { return new WebMvcConf..
배경 밀린 일들을 처리하고 이제서야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시작하려던 차에 전혀 생각하지 못한 루트를 통해 시리즈C 스타트업으로부터 면접 제의를 받았다. 이력서를 업데이트한 지 좀 오래된 플랫폼에서 어떻게 찾았는지 HR에서 직접 열람한 후에 이직 제안 레터를 보내왔던 것이다. 포지션 자체가 3년 이상 경력을 요구하기에 내 경력 필터에 걸려서 이전에 전혀 본 적 없는 기업이었으나, 회사에 대해 조금 알아본 후에 어쩌면 정말 좋은 성장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고민 끝에 면접을 다녀오게 되었다. 면접 팁이나 후기를 다루는 글들을 정말 많이 읽어보았고, 나름대로 필요한 내용들을 열심히 준비해갔다. 그러나 면접은 내가 예상했던 것과 전혀 다르게 흘러갔고, 이 경험이 기억에 남아 이 글을 남기게 되었다...
 윈도우에서 사용 중인 포트 확인하기(GUI 이용)
			
			
				윈도우에서 사용 중인 포트 확인하기(GUI 이용)
				문제상황 스프링부트를 공부하며 REST API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어제까지만해도 잘 되던 포트가 갑자기 사용 중이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프론트 앱 없이 오로지 백엔드 프로그램 하나만 로컬로 돌리면서 테스트하는 상황이다보니 다른 프로그램이 8080포트를 쓸 일이 없는데 아무리 봐도 이상해서 각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포트를 확인해보기로 했다. 각 프로세스가 사용중인 포트를 확인하는 2가지 방법 1. (추천) 윈도우 리소스 모니터 사용 - (윈도우10 기준) 시작버튼 누르고 '리소스 모니터' 검색 후 열기 - 네트워크 탭 - TCP연결에서 원하는 포트를 사용 중인 앱 찾기(오름차순 정렬하면 편함) - 해당 프로세스 PID를 확인 후 상단 네트워크 활동이 있는 프로세스에서 PID로 프로세스를 찾아 ..
